교육과정

독창성과 수월성을 갖춘 교육모델

에너지신산업 혁신공유대학에서는 개별 학과 중심의 전공과 이론 중심의 기존 교육시스템을 탈피하여 에너지신산업에 특화된 가치사슬연계 (생산-저장-이송-활용-경영) 통합교육, 거점대학 연계 현장중심 교육, 학제간 융합형 교육, 디지털 신기술 교육, 맞춤형 수준별/모듈별 교육모델을 개발하였습니다.

교육모델
교육모델

에너지신산업 교과목 체계




  • 에너지신산업 수준별/모듈별 38개 표준교과목 개발 및 운영
  • **전필 과목/ *사업단개설 과목
  • 강원대학교 교육특성화 : 수소에너지, AI기반에너지시스템
  • 강원대학교 책임개발 교과목: 에너지와 기후변화, 에너지반응공학, 수소에너지공학, 거대에너지저장, AI기반시스템최적화

공유교육을 위한 교육컨텐츠 및 인프라 확보

  • 에너지신산업 교과목 중 기존 교육컨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제 기업 또는 기관의 현장으로부터 제공되는 문제를 기반으로 한 “현장 중심형 문제기반학습(Problem Based Learning)환경”을 접목시키고자 합니다.
  • 에너지신산업의 다양한 산업분야에 대한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문제해결형 교과목을 분야별로 신규 개발하여 교육 컨텐츠의 질을 제고하고 있습니다.
공유교육을 위한 교육컨텐츠 및 인프라 개발 및 구축 방향교육컨텐츠 및 인프라 개발 및 구축 방향에 대한 주요내용 보여주는 표
교육컨텐츠 개발/인프라 구축 방향 주요내용
기존 교과목 재구조화를 통한 교육 컨텐츠 확보 산업계 연계를 강화하여 기존 에너지 교과목을 Industry Coupled Problem Based Learning (IC-PBL) 재구조화
문제해결형 신규 컨텐츠 개발 에너지신산업 데이터기반 현장중심 PBL 교과목 개발
교육과정 운영인력 확보 행정인력 및 데이터분석 전문가 확보
교육과정 운영 인프라 구축 Hub LMS관리 플랫폼, 온오프라인 병행 디지털 강의실 구축
온라인컨텐츠 제작시스템 구축 강의녹화 및 동영상 편집 시스템 구축